요금 채식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채식이 몸에 좋다는 인식 때문이겠지요. 근데 완전한 채식주의자 비건으로 살려면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많습니다. 잘못된 상식을 가지고 채식만 하면 생명까지 위험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티브 잡스는 췌장암으로 56세에 생을 마감했는데 그는 완전한 채식주의자였습니다. 그의 자서전을 보면 채식만 한 것이 그의 건강에 많은 악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채식을 대충하면 안 되는 이유
1. 친구 A는 딸이 외국에 다녀온 후부터 유제품과 계란은 먹는 채식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녀는 몸 상태는 괜찮아 보이지만 자주 배가 고파하고 항상 먹고 싶어 합니다. 그러다 보니 채식만 하는데도 살이 찌고 몸매가 점점 뚱뚱해진다고 합니다.
2. 친구 B의 엄마는 불교를 믿고 일년 내내 채식만 하시는데 위장이 좋지 않다고 합니다. 그녀의 얼굴은 점점 노랗게 변하고 점점 야위어 가는데 보는 사람마저 마음이 조급해진다고 합니다.
3. 친구 C의 친척은 채식주의자가 된후 추위를 많이 타며 병에 잘 걸린다고 합니다. 친척에게 더 이상 버티지 말라고 했는데 그녀는 다시 육류를 소화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채식은 기술적인 일입니다.영양 지식, 경제적 능력, 시간 및 에너지에 대한 요구 사항이 일반적인 식사를 할 때보다 훨씬 더 높습니다.
건강한 채식주의자가 될려면 주의할 점
첫째, 채식주의자는 음식을 충분히 먹어야 합니다.
비건 음식을 먹는 사람은 음식의 총량과 단백질의 총량이 육식을 하는 사람보다, 비건 음식을 먹기 전보다 증가합니다. 콩, 견과류, 식물성기름과 같은 천연 식물성 단백질 식품에는 항영 양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식이섬유 함량이 더 높기 때문에 식품의 소화 흡수율과 단백질 생체 이용률이 육류보다 낮습니다.
채식주의자의 일일 단백질 섭취량은 여성 65g, 남성 75g입니다.(이것은 20년전의 기준으로 20년 전만 해도 많은 사람들이 생선, 고기, 계란 등을 먹을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기준입니다). 생선, 육류, 계란, 우유를 섭취하는 채식주의자의 일일 단백질 섭취량은 여성 55g, 남성 65g입니다.(이것은 지금의 기준입니다).보시다시피 10 g 차이가 납니다.
체중이 계속 감소하고 근육이 손실되고 피부가 느슨해지고 주름이 늘어나는 것을 발견하면 절대 방치하지 말고 제때에 음식을 늘려야 합니다.
비건에 비하면 계란과 우유를 섭취하는 채식은 훨씬 안전합니다.왜냐하면 계란과 우유는 흡수가 용이한 고품질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D 및 다양한 비타민 B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안전합니다. 하지만 계란 1알과 우유 1컵으로는 충분한 단백질을 공급하기 어려우며 계란 두 알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콩 제품과 견과류, 식물성 기름의 양을 늘려야 합니다.
둘째:소화흡수 기능 개선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비건 음식을 먹는 사람들은 "추위","더위"에 신경을 쓰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몸이 서서히 추위를 많이 타는 것을 실감하기 때문일 수 있으면, 일부 음식을 먹으면 소화 시스템에 부담을 느끼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식물성 식품에는 프로테아제 억제제,아밀라아제 억제제, 렉틴, 피트산, 옥살산, 폴레페놀(탄닌,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페놀산 등 포함)및 다양한 식이섬유와 같은 항영양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항영양소는 장에서 영양분의 흡수를 방해하는 화합물질로써 천연 또는 합성물질 일수 있습니다.
이러한 식물 성분은 대부분 "보건 즉 건강을 보조하는 성분"이라고 불립니다.그러나 이 명칭은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충분한 생선, 고기, 계란, 우유를 먹었거나, 음식의 총량이 충분하거나 심지어 과도하거나, 또는 뚱뚱하거나 혈중 지질, 혈압, 혈당이 너무 높거나 한 상황에서 이런 식물 성분은 건강 작용을 합니다.
하지만 단백질이 부족하거나 영양실조 상태이거나 소화흡수율도 비교적 약하고 마른 상태라면 상황은 달라집니다.이러한 항영 양 성분은 소화 및 흡수율을 감소시키고 철 및 아연과 같은 미량 원소의 흡수를 방해하며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와 같은 소화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킵니다. 이때 그것들을 더 많이 먹으면 좋을 것이 없고 득 보다 실이 더 많습니다.
채식주의자는 얼굴이 노랗게 변하거나 창백하고 빈혈과 아연 결핍 문제가 있는 것을 발견하면 즉시 영양사와 상담하고 제때에 영양 보충을 해야 합니다.동시에 소화기과 의사를 만나보고 자신의 소화 흡수 기능이 저하된 상태인지도 살펴봐야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간에 걸리는 원인 (0) | 2025.03.05 |
---|---|
잠자기전 휴대폰을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와 충전시 주의할점 (0) | 2025.03.05 |
채식주의자가 음식섭취시 주의할점 (0) | 2025.03.04 |
계란은 하루에 몇개 먹는것이 가장 좋을까 (0) | 2025.03.04 |
덜 잔다VS늦게 잔다: 어떤것이 건강에 더 해로울까? (0) | 2025.02.26 |